▶ 이벽 성지에서 길을 밝히다 – 신앙의 첫 걸음에 대한 성찰
▶ 고봉연 신부와의 대화, 이벽이 남긴 신앙의 유산
[NGN뉴스=사람 이야기]양상현 기자=10월 5일, 경기도 포천 화현의 이벽 성지에서 특별한 대화의 장이 열렸다. 북콘서트 행사의 마지막 순서로 춘천교구 이벽 성지를 담당하고 있는 고봉연 신부가 마이크를 잡고, 이벽이 한국 천주교 역사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그 의미에 대해 참석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고 신부는 이벽을 한국 천주교의 선구자로서 다시금 조명하며 그의 삶과 신앙이 가진 중요성을 강조했다.
▣ “처음은 어렵다, 이벽은 그 길을 열었다”
고봉연 신부는 강연의 첫 마디부터 이벽의 존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우며, “세상의 모든 처음은 어렵다. 이벽 선생님은 바로 그 어려움을 이겨내고 새로운 길을 개척한 분입니다”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그는 이벽이 천주교를 전파한 선구자였지만 그 길이 결코 쉽지 않았음을 강조하며, 당시 조선 사회에서 서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곧 목숨을 건 일이었음을 상기시켰다.
신부는 이어 이벽의 삶을 시와 함께 비유하며, 자신이 즐겨 읽는 정호승 시인의 시 ‘봄길’을 인용했다.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되는 사람이 있다. 스스로 봄길이 되어 끝없이 걸어가는 사람이 있다. 이벽 선생님이 바로 그런 분입니다”라고 고 신부는 설명했다. 그는 이벽을 ‘길이 없는 곳에서 길을 만든 사람’으로 묘사하며, 그의 신앙이 단순한 교리 전파가 아닌 새로운 희망의 상징임을 강조했다.
▣ ‘성조’라는 타이틀, 그 깊은 의미
고봉연 신부는 이벽에게 붙여진 ‘성조(聖祖)’라는 타이틀에 대해서도 깊은 의미를 부여했다. “그가 길을 열었기 때문에 ‘성조’라는 타이틀을 받은 겁니다. 조선 사회에서 서학, 즉 천주교의 씨앗을 뿌리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이벽 선생님은 그 어려운 일을 해냈고, 그로 인해 우리는 오늘날까지 천주교의 역사를 이어올 수 있었습니다.”
그는 이벽이 단순히 신앙을 받아들인 것만이 아니라, 그것을 조선 사회에 적극적으로 전파하고 스스로 새로운 길을 만든 인물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그의 영향력을 높이 평가했다. 이벽이 15년간 천주교를 연구하며 깨달은 진리를 끝내 실천하고자 했던 그 의지가 오늘날의 한국 천주교를 이루는 데 중요한 기틀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이벽 선생님은 요한복음 8장에서 말하는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라는 말씀을 몸소 실천하신 분이죠. 그는 단순히 새로운 사상을 수용한 것이 아니라, 그 사상을 통해 벽을 뛰어넘고 새로운 희망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그 점에서 이벽 선생님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여전히 살아있는 존재입니다.”
▣ 현대 신앙의 뿌리, 이벽의 역할 재조명
고 신부의 강연은 단지 과거의 이야기를 나누는 것에 그치지 않았다. 그는 이벽의 삶과 신앙이 현대의 천주교 신자들에게도 여전히 큰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벽 선생님이 살아온 삶은 그저 역사 속의 한 인물이 아니라, 지금 우리에게도 중요한 신앙의 뿌리입니다. 그의 신앙적 결단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여전히 새로운 깨달음을 줍니다.”
강연을 들은 참석자 중 한 명은 “고 신부님의 이야기를 들으니 이벽 선생님이 얼마나 대단한 분인지 다시금 깨닫게 됐다”며, “이곳 성지를 방문한 것이 정말 뜻깊다”고 소감을 전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이벽 선생의 이야기가 단순히 과거에 묻힌 것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준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고봉연 신부는 강연을 마치며 “오늘 이 자리가 이벽 선생님의 길을 다시 돌아보고, 그의 신앙과 용기를 기억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라고 전하며, 이벽 성지를 찾은 참석자들에게 신앙의 길을 계속 걸어가기를 당부했다.
▣ 이벽 성지에서의 깊은 여운
이벽 성지에서 열린 북콘서트는 단순히 책과 인물에 대한 설명을 넘어서, 이벽이 한국 천주교 역사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그리고 그의 신앙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주는지를 깊이 생각해보게 하는 시간이 되었다. 고봉연 신부의 진솔한 강연과 이벽 선생의 삶에 대한 깊은 이해는 참석자들에게 큰 감동을 남겼다.
이벽 성지를 떠나는 길, 가을바람이 살랑이는 가운데 참석자들의 마음속에는 이벽이 남긴 신앙의 씨앗이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었다. 고 신부가 말한 것처럼, 길이 없을 때도 길이 되어준 이벽의 발자취는 지금도 그곳에서 이어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