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실과 거래의 경계에서 언론의 역할은 어디까지인가?
▶ 사고, 합의, 그리고 언론을 둘러싼 도덕적 도전
[NGN뉴스=가평]정연수 기자=경기 가평군의 한 산하 기관에서 근무하는 A 팀장이 음주운전 사고를 일으키며 또다시 공직사회의 도덕성이 시험대에 올랐다. 그러나 이 사건은 단순한 음주운전 사고로 끝나지 않고, 피해자와 가해자 간의 합의금 협상과 이를 둘러싼 언론 보도 삭제 요구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언론의 역할과 그 존엄성에 대한 도전이자, 진실과 거짓의 경계에서 벌어진 위험한 거래의 시도다.
▣음주운전과 수면제 복용: 사건의 전말
사건은 지난 8월 1일 오후 5시 30분경, 가평군 코아루 아파트 앞에서 발생했다. 가해자인 A 팀장은 음주 상태로 운전 중 사고를 일으켰으며, 피해자인 운전자 B 씨는 전치 3주의 상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B 씨는 사고로 인해 기존의 허리와 목 통증이 더 심해졌다고 호소했다.
A 팀장의 혈중알코올농도는 0.13%, 면허취소 기준을 넘는 수준이었고, 이로 인해 가해자의 도덕성과 직업적 책임에 대한 비판이 일었다. A 팀장은 사고 당시 수면제를 복용한 사실도 추가로 밝혀지면서 더 큰 논란에 휩싸였다. 그는 사고 당시 "술을 마신 것은 사실이나 근무시간 중 음주가 아니었다"고 주장하며, 불면증으로 인해 수면제를 복용한 것이 사고의 원인 중 하나였다고 해명했다.
A 팀장은 사고 직후 자신의 직장 명함을 건넸으나, 다음 날에는 "퇴직했다"며 거짓말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자 B 씨는 "합의금도 제대로 주지 않았고, 진정한 사과도 받지 못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반면 A 팀장은 사과의 뜻을 전하며 치료비와 차량 수리비 등의 피해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합의금과 언론 보도: 진실을 둘러싼 거래의 시도
이 사건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단순한 음주사고나 피해 회복이 아니라, 그 이후 벌어진 합의금 공방과 언론 보도 삭제 요구다. 피해자 B 씨는 사고 발생 한 달 뒤, 시설공단 게시판에 "합의금도 주지 않는다"며 폭로성 글을 올렸고, 이는 공공의 관심을 끌며 언론 보도를 통해 확산되었다. 하지만 사건은 이후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피해자 측이 가해자와의 합의가 이루어진 후, 돌연 기사 삭제를 요청하면서 진실과 거짓 사이의 경계가 흐려지기 시작한 것이다.
피해자는 본보 기자에게 "합의를 했으니 기사를 삭제해달라"는 요구를 했고, 가해자 측에서도 "합의가 이루어졌으니 기사를 삭제해달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그러나 본보는 "합의 여부와 보도는 별개의 문제"라며 삭제 요구를 거부했다. 피해자는 이에 대해 "내가 요청했으니 기사를 삭제하는 것이 맞다"며 항의했다. 언론 보도를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려는 시도로 보이는 이 상황은 언론의 독립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 폭로는 정의인가, 협상의 도구인가?
이 사건에서 드러난 피해자의 폭로성 글과 합의금 요구는 정의 실현을 위한 도구가 아닌, 개인적 이익을 위한 협상 카드로 보일 가능성이 짙어졌다. B 씨가 공단 게시판에 글을 올리며 가해자의 도덕성을 비판한 것은 피해자로서 정당한 권리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그 글이 합의금 협상을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변모하고, 합의 후에는 돌연 글을 삭제하며 언론 보도까지 없애달라는 요구로 이어지자, 그 정당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언론은 사실을 보도하고, 사회적 책임을 묻는 공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하지만 이 사건은 진실이 거래의 대상이 되는 순간, 언론의 본질적 가치를 훼손하는 위험한 시도를 보여준다. 진실은 금전적 보상의 대상이 아니며, 피해 회복을 위한 합의금과는 별개의 문제다. 그러나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 언론을 그들의 협상 도구로 삼으려는 의도를 드러내며, 사건의 본질을 왜곡시키고 있다.
▣ 진실과 거래의 경계에서: 언론의 역할은 어디까지인가?
이번 사건은 단순히 음주운전 사고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진실과 거짓의 경계에서 벌어진 위험한 도덕적 도전을 보여준다. 피해자가 합의금을 받고 나서 "기사를 삭제해달라"고 요구한 것은 진실이 단순히 돈으로 해결될 수 있다는 잘못된 메시지를 사회에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언론의 독립성과 신뢰성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며, 언론이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하는 중대한 문제다.
언론은 사건의 진실을 기록하고, 사회적 책임을 묻는 공적 기관으로서 금전적 거래나 협상에 휘둘리지 않아야 한다. 진실을 거래의 대상으로 삼으려는 시도는 결국 사회적 정의와 공정성을 훼손하는 길로 이어진다. 이번 사건은 언론이 그 본질적 가치를 지키고, 진실을 밝히는 역할을 얼마나 굳건히 수행해야 하는지를 다시 한번 상기시켜주는 중요한 교훈으로 남을 것이다.
▣ 결론: 진실은 거래의 대상이 될 수 없다
가평군 산하 A 팀장의 음주운전 사고와 그 이후 벌어진 피해자 B 씨와의 합의금 논란은 단순한 개인 간의 갈등을 넘어, 언론의 본질적 역할과 도덕적 가치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다. 진실은 결코 거래의 대상이 될 수 없으며, 언론은 금전적 이해관계와 무관하게 사실을 보도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이번 사건이 언론의 독립성을 지키기 위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
BEST 뉴스
-
[단독] 통일교 그룹 가평 페리 ‘지역 상품권 받고 불법영업’
-가평 크루즈 ‘상품권 가맹점도 없이 상품권 받아’ -가평군 “지역 상품권 받지 말라” 가평 크루즈와 남이섬 측에 경고 -소상공인들 “가평 크루즈 측에 항의 및 제발 방지” 등 강력 대응 예고 ▲관광객들이 상품권으로 승... -
‘김건희 청탁 의혹’과 통일교 5대 의혹…‘UN 제5사무국 가평군 유치.케이블카 사업'등 검찰 칼 끝은?
▲지난 2월 25일 김인권 가평군 평화대사협의회 이사가 UN 5사무국 가평군 유치를 위한 주제를 발표하고 있다.[출처/가평군 평화대사협의회] “가평군은 한국전쟁 당시 UN 참전국들의 기념비가 가장 많은 곳으로, 평화를 지켜낸 숭고한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한 사무국 유치는 약 2조 원 ... -
총성 없는 22일 간의 전쟁, 주사위는 던져졌다...포천시·가평군 21대 대통령 선거 유세 종합
총성 없는 22일간의 유세 전쟁이 2일 막을 내렸다. 포천·가평 지역의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당직자와 당원들은 “이재명, 김문수”를 연호하고, 한 표를 호소하며 쉼 없이 달렸다. 유세 현장에서 만난 그들의 얼굴은 뜨거운 햇볕에 검 붉게 그을렸고, 목소리는 모두 쉬어있었다. ... -
넋은 별이 되고 (유연숙) 낭독 / 연지우(가평군청 주무관)
넋은 별이 되고 글/유연숙 모른 척 돌아서 가면 가시밭길 걷지 않아도 되었으련만 당신은 어찌하여 푸른 목숨 잘라내는 그 길을 택하셨습니까 시린 새벽 공기 가르며 무사귀한을 빌... -
가평 크루즈 배우 최여진 결혼식 이유로 ‘결항’
북한강(설악면~가평 자라섬)을 운항하는 가평 크루즈가 지난 1일 결항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제보에 따르면 “평소에도 결항이 잦은 가평 크루즈가 지난 1일엔 아예 운항하지 않았다”라고 한다. 가평 크루즈 모델로 알려진 배우 최여진 씨가 ‘크루즈에서 선상 결혼식’을 한 것이 결항 이유로 확... -
[3부작 심층 르포]가평 크루즈 지역상품권 불법 수취 논란, 그 민낯과 파장
‘자라섬 꽃 페스타’를 찾은 관외 관광객들은 7천 원의 입장료를 내고, 현장에서 5천 원을 ‘가평사랑상품권’으로 돌려받았다. 지역 식당과 가게에서 돈을 쓰게 해 골목상권을 살리자는, 가평군과 시민 사이의 따뜻한 ‘상생의 약속’이었다.축제의 들뜬 온기가 채 가시지 않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