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19(일)

[NGN 뉴스 연속 기획] 가평군 미래 전략, ‘바로 실천합시다’

3부 청년 인구 증가 우선 정책 필요…가평군 ‘인구 정책팀 3명’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정연수 기자 | 기사입력 : 2024.04.16 21:00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유튜브 섬네일.jpg

 

잠시나마 우리를 둘로 갈라놓았던 22대 총선도 끝났다. 이제 정치는 그들에게 맡기고 우리 6만 3천여 민.관은 내 고장의 미래를 위해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 실현될 수 있게 힘을 모아야 한다.


그동안 우리 고장을 '숙주'로 삼았던 정치인들은 많았지만, 그들이 '우리의 미래를 책임져 주지 않는다'는 학습경험도 할 만큼 했다. 그들을 통해 우리가 '자력'을 키우지 않으면 안 된다는 교훈도 얻었다.

 

행동하지 않으면 무지갯빛 환상에 불과하다. 바로 실천해야 하는 이유다. 당장 실천해도 시간이 부족하다.

 

NGN 뉴스는 오늘부터 (사)가평연구원(대표 전성진)이 ㈜리서치뷰(대표 안일원)에 의뢰한 ‘가평군 미래 전략’ 여론 조사 결과를 연속 특집 보도한다.

 

조사 결과 이대로 가면 우리 군의 미래는 ‘암울’하다. 걱정만 한다고 해결되는 게 아니다. 행동과 실천이 시급하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⓵중점과제=가평군 1,000만 관광객 유치

②인구정책=인구소멸위기 심각성

③청년정책=청년인구 증가 우선 정책

⓸수도권 미혼 천녕들의 지방이주에 대한 생각

⑤공직사회 평가=군수 직무평가.청렴도.직무 태도.의정 평가

 

[나레이션=정연수 기자]

 

가평군 인구가 처음 6만 명대를 기록한 것은 2015년, 불과 9년 전이다.

 

이후 연간 300명 정도씩 늘어 6만 3천여 명이 되었다.

 

인구가 조금씩 늘어나긴 했지만, 문제는 고령화다.

 

2000년 당시 우리 군의 고령화 비율은 12.7%였다. 100명 중에 열 두세 분이 65세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지난해 말엔 노령인구가 100명 30명이 됐다. 노령인구가 두 배 이상 많아진 것이다.

 

지금대로라면 2040년쯤엔 고령화 비율이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65세 인구가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가 되면 고령 사회, 20%면 초고령 사회라고 한다.

 

우리 가평군이 지금처럼 고령화가 고착화가 되면 어떻게 될까?

 

가장 먼저 유치원과 어린이집·초등학교가 문을 닫게 된다.

 

가평에서 자식을 키우고 싶어도 기반 시설이 사라져 부모들도 가평을 속속 떠나게 된다.

 

사람이 떠나면 미용실·약국.병.의원·마트.음식점들도 문을 닫을 수 밖에 없다.

 

이런 도미노 현상으로 영호남과 충청권에선 이미 지역소멸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 가평군민은 아직 심각한 인구 절벽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우리 가평군의 인구 이동 통계를 보면 인구 절벽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

 

지난해 우리 군에 전입한 인구는 717명이다. 혼인 건수는 매년 떨어져 200건도 안 된다.

 

결혼 인구가 줄면 출산율이 떨어지고 덩달아 신생아가 줄 수밖에 없다.

 

2년 전인 2022년 우리 군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199명, 사망자는 796명이다.

 

태어난 사람보다 사망자가 4배 많다.

 

그렇다면 우리 군을 떠나거나 전입한 사람들은 어느정돈지 연령대 별로 보면, 50대와 60대 이상은 전출보다 전입자가 많다.

 

40대도 2019년을 제외하고 전입자가 많은 것다.

 

문제는 19세 이하 2030 청년 세대들이 가평을 떠나고 있는 것이다.

 

최근 10년간 9세 이하는 320명이 가평을 떠났고, 20대는 991명이, 30대 초반도 299명이 이사를 갔다.

 

우리 군의 자연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핵심 요인 중의 하나가 9세 이하 영유아, 그리고 취학아동들까지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고 있는 점이다.

 

여기에 더해 20대 청년과 30대 초반 청년들도 탈 가평 현상이 많아지고 있다.

 

이들이 왜 가평을 떠날 수밖에 없었는지 진단과 처방이 필요하다.

 

청년들은 우리 군이 어떤 지원을 하면 가평으로 이사 올 생각이 있는지, 64%가 창업과 일자리 기회 제공, 보건·의료 10.3%라고 했다.

 

청년들은 일자리와 주거를 우선순위로 꼽고 있다.

 

두 가지 모두 전국 공통 사항이지만, 우리 가평군은 수도권이라는 장점과 이를 접목 할 수 방안이 마련되면 다른 지방에 비해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할 만하다.

 

청년인구를 늘리려면 응답자의 90%가 이들을 집중 관리하고 케어 할 수 있는 청년센터 건립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와 함께 응답자의 약 90%는 우리 군에 청년팀 전담 부서를 설치해야 한다고도 했다.

 

경기도 31개 시·군 중 우리 가평군과 군포·이천·하남시에만 청년 센터가 없다.

 

지리적 여건 등 우리 가평군과 많은 점이 비슷한 연천군엔 가평군에 비해 공무원 숫자가 86명이 적다, 그럼에도 18명이 인구와 청년 정책을 전담하고 있다.

 

가평 군은 3명으로 구성된 인구정책팀이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주무관 1명은 경기도에 파견된 실정이다.

 

3명에 불과한 인구정책팀에 인구 정책을 맡겨 인구 소멸을 막아보겠다는 발상이 어불성설이다.

   

태그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NGN 뉴스 연속 기획] 가평군 미래 전략, ‘바로 실천합시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