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충격! 4년의 추적…‘비리로 얼룩진 가평 음악역’ 초대형 입찰비리 의혹
②음악역 A 씨는 ‘마이더스 손!?’..주변 인물들 "행사 34건 중 33건 계약"
-신규사업자 등록 이틀 만에 “수의계약”,'포천에서도...'
-사업자 바꿔 7억 3천 수주
-A 씨 채용 직후 생소한 업체들 가평서 ‘싹쓸이’
-지역 공연 관련 업체들 ‘이삭줍기도 못 해 개점휴업 상태’
음악 도시를 구현하겠다던 가평군 1939 음악역이 개장 5년 만에 입찰 비리 온상으로 전락했다. 음악역은 100% 가평군민 혈세로 운영되기 때문에 군민이 주인이다.
군은 군민으로부터 위탁 운영을 받은 것에 불과하다. 동시에 관리·감독해야 하는 무한 책임이 있다.
그러나 군은 지난 5년간 음악역에서 충격적인 범죄행위가 조직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것을 ‘몰랐거나, 묵인’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가평군이 발주하는 공연 등을 기획·총괄하는 공무원 A 씨가 주변 인맥을 동원해 부정 입찰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지금까지 확인된 것만 30억 원에 이른다. 초대형 입찰비리 사건으로 기록될 이번 사건은 NGN 뉴스가 지난 4년간 추적 끝에 전모가 밝혀졌다.
6만 4천여 가평군민이 낸 피 같은 세금을 지키기 위해 음악역에서 4년째 벌어지고 있는 ‘입찰비리’ 전모를 고발한다.-편집자 주-
[NGN 뉴스=가평/탐사보도 ‘끝까지 판다’] 정연수 기자=경기 가평 음악역 행사 업무를 맡고 있는 공직자 A 씨가 자신이 대표로 있던 경기문화예술진흥원 임직원과 대학 강의 등에서 알게 된 업체와 인맥을 동원해 가평군 음악역 공연 예산을 독식한 것으로 의심된다.
입찰 비리에 관여한 업체는 OO에이앤씨 등 10여 개에 이르며, 10여 명이 가담한 것으로 의심된다.
공연기획사 대표. 교수·공무원 등이 연루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지난 4년간 공개 입찰 및 수의계약으로 챙긴 예산은 확인된 것만 30억 원에 이른다.
특히 가평군이 4년간 발주한 공연 관련 “입찰 34건 중 이들이 33건(수의계약 23건, 입찰 10건)”을 수주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가평군이 발주한 공연 관련 예산을 싹쓸이할 수 있었던 과정을 따라가면 공직자 A 씨가 있다.
입찰에 참여한 업체들이 담합한 것으로 의심받는 이유다.
이들의 공통점은 신규사업자를 낸 직후 짧게는 2일, 길면 10일 만에 용역 계약을 하였으며, 가평군에서 한 번도 공연 실적이 없는 생소한 업체들이다.
음악역 공연관련 행사 입찰에 참여한 업체는 10여개에 이르며, 모두 A씨와 연관된 것으로 확인됐다.[출처/NGN뉴스]
▣A씨 채용 직후부터 생소한 업체들 ‘싹쓸이 계약’,관내 업체들 '이삭줍기도 못 해 개점 휴업상태'
A씨는 2020.4월 임용됐다. A씨는 첫 행사(10.28일. 11.30일)부터 자신과 특수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 감**을 통해 ‘*결 A&*’에 일거리를 몰아준 것으로 보인다.
수의계약 2회, 1,900만 원을 계약했다. 그런데 이 업체는 계약 직전인 2020.10.14일 개인사업을 등록하고, 2주 만에 경쟁 없는 수의계약을 했다.
그리고 2021.11.8.일, 개인사업자 ‘*결 A&*’외 상호를 한글로 바꿔 ㈜*결에이*씨로 신규 법인을 설립했다. 그리고 2022.6~2024.2.6.일까지 총 4회 입찰에 참여해 7억여 원을 수주했다.
음악역 A씨는 임용되기 전, 경기 의정부에 있는 ㈜경기문화예술진흥원 대표였다. 그리고 의혹을 받는 김**씨는 ㈜경기문화예술진흥원 이사이며, 현재도 포천시청에서 공연 관련 업무를 맡고 있다.
또 다른 공연업체 필*스 *트컴퍼니. 이 업체는 2021.6~22,10월까지 4차례 4천여만 원 상당의 음향·조명 시설 용역을 맡았다.
업체 대표는 장*필씨이며, 사업장은 의정부시 동일로 4*5번 길(2층)이다. 이 주소는 음악역 A씨가 대표로 있던 ㈜경기문화예술진흥원과 일치한다.
입찰 의혹은 또 있다. 박**씨는 ‘에이*피’(여성기업)라는 이름으로 2023.2.7일 신규사업자 등록을 했다.
그리고 10일 후인 2.17일, 음악역 버스킹 3천520만 원, 5.18일 경기도 체육대회 개최지 확정 군민 축하 공연비 4천700만 원 등 총 8천240만 원을 수의로 계약했다.
실적도, 행사 경험도 없는 개인사업자가 사업자 등록(여성기업)을 한 지 불과 이틀 만에 가평군 행사를 두 차례 연속으로 수주한 것도 의문점이다.
여성기업으로 등록되면 5천만 원 이하는 수의계약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사전에 알았던 것으로 의심된다.
그런데 단 한 번에 수의계약을 한 ‘에이*피’ 대표 박**씨는, 나**씨가 대표로 있는 더*유씨 컴퍼니(주)감사이다.
더*유씨 컴퍼니(주) 대표 나**씨와 A씨는 포천 OO대학에서 교수로 활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출처/NGN뉴스]
더*유씨 컴퍼니(주) 대표 나**씨는 음악역 A씨와 대*대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하고 있는 인물로 확인됐다.
실제로 나**씨도, 2023.3.24.일과 2024.2.15.일 음악역 관련 행사 입찰에 두 차례 참여해 4억 5천만 원을 수주했다.
음악역 관련 공연 행사에 계약을 한 업체 뒤엔 어김없이 A씨가 연결돼 있다.
그동안 가평군 행사에 단 한 차례도 참여하지 않았던 업체들이 마치 순번을 정해 놓은 것처럼 신규 사업체를 만들어 수의계약 또는 낙찰받았다.
그러나 A 씨는 이같은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오늘(22일) 기자와 만난 A 씨는 “보도를 통해 거론된 인물 중 공연 및 교수활동을 하면서 알게 된 사람도 있다”면서 “모르는 사람도 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아는 사람들이 용역을 맡았다고 해서 의심을 하는 것은 억울하다”라고 주장했다.
A 씨는 또 지난 4년간 가평군이 발주한 음악역 행사 관련 34건 중 33건을 주변 인물들이 수주하였고, 확인된 금액만 30억 원인데...라는 기자의 질문에 “상관없는 일”이라면서 자세한 것은 “확인해 보아야 알겠지만, 입찰에 관여한바 없다”고 주장했다.
A 씨는 “가족과 상의해 대응할 것인지 등을 의논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가평군 조한샘 공연기획팀장도 동석했다. 조 팀장은 “의혹을 사실처럼 보도한 것에 대해 유감스럽다”라는 입장과 불쾌함을 감추지 않았다.
NGN 뉴스는 지난 4년간 음악역 관련 의혹을 추적했으며, 의혹을 입증할 자료도 상당 부분 확보했다.
한편 의혹을 받는 A씨와 주변 인물들은 포천시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공연 예산을 받아낸 것으로 확인됐다.
이 과정에서도 A씨, 그리고 그와 연관된 주변 인물들의 이름이 마치 실과 바늘처럼 연결되어 있다.
탐사보도 ‘끝까지 판다’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