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N뉴스=경기도]양상현 기자=윤석열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1억 달러(약 1,400억 원)의 차관을 제공했다. 표면적으로는 ‘사회 영역 지원’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국익’이라는 계산이 먼저 읽힌다. 전쟁의 상흔이 가득한 우크라이나에 손을 내민 한국 정부의 진짜 속내는 무엇일까?
▣"첫 번째 재정 지원"의 의미
데니스 슈미할 우크라이나 총리는 “한국 파트너의 첫 번째 재정 지원”이라며 감사를 표했다. 한국 입장에선 그 첫 단추를 끼운 셈이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의 참상이 더해질수록 이 ‘첫 번째’가 어디까지 이어질지는 의문이다.
한국 정부는 지난 4월 미국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지원회의’에서 21억 달러(약 2조8,500억 원) 규모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1억 달러는 그중 일부일 뿐이다. 윤석열 정부가 과연 이런 막대한 돈을 퍼붓는 것에 대해 국민적 동의를 얻었는가? 외교적 명분을 내세우지만, 정작 국내에선 물가 상승, 경제 불안으로 고통받는 국민들이 먼저다.
▣ 차관 조건: 1% 이자율, 20년 상환의 속뜻
조건만 보면 우크라이나에 이보다 더 ‘친절한’ 차관은 없을 것이다. 20년 만기에 5년 유예, 1% 이자율. 사실상 ‘공짜’에 가까운 이 조건은 전쟁으로 붕괴된 우크라이나 경제에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동정심이나 인도주의적 조치가 아니다.
윤석열 정부는 이 차관을 통해 미래의 이익을 노리고 있다. 전후 복구 사업에 한국 기업이 진출할 발판을 마련하고,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이 ‘투자’는 결코 공짜가 아니다. 국민 혈세가 투입되는 만큼, 그 성과에 대한 책임도 명확해야 한다.
▣ 외교 명분 뒤에 숨은 현실
윤석열 정부가 우크라이나 지원을 강화하는 것은 단순히 인도주의적 지원이나 평화 수호 때문만은 아니다. 미국과의 관계 강화, 국제 사회에서의 이미지 제고라는 정치적 셈법이 깔려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국내 정치용’ 카드로 활용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국내 경제는 위기 상황이다. 서민들은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에 허덕이고, 청년들은 취업난에 좌절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막대한 금액을 해외에 지원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가? 윤석열 정부는 ‘국익’이라는 명분을 내세우지만, 정작 국민들은 그 혜택을 체감하지 못한다.
▣ 국민을 위한 지원이 먼저다
우크라이나 지원 자체를 비판할 수는 없다. 전쟁으로 고통받는 국가를 돕는 것은 국제 사회의 책임이다. 하지만 그 지원이 국민의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된다면, 이는 외교적 과시일 뿐이다. 윤석열 정부는 국민 혈세가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
1억 달러 차관은 시작에 불과하다. 앞으로 21억 달러까지 지원이 이어질 것이다. 그 과정에서 한국 정부가 어떤 국익을 얻을 것인지, 그 대가로 국민들이 무엇을 감당해야 할지 냉정하게 따져봐야 한다. 윤석열 정부가 ‘세계 평화’라는 외교적 수사를 앞세워 국민을 속여선 안 된다. 진짜 평화는 국민의 삶에서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