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3-25(수)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정연수 기자 | 기사입력 : 2025.01.21 18:56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정희창 씨 “유료화는 도농 차이 모르는 군수의 무능”…“철회할 때까지 한다”

PCM20191122000269990_P4.jpg

▲군민 정희창 씨(덕현리)가 21일 가평역 앞에서 '역세권 공영주차장 유료화 철회를 촉구하는 서명을 받고 있다.[사진/NGN 뉴스]

 

'가평·청평.대성리역세권 공영주차장 유료화 철회'를 요구하는 군민 서명이 21일 시작돼 관심을 끌고 있다.

이날부터 가평전철역 앞에서 서명운동을 시작한 군민 정희창 씨는 “경기침체와 고금리, 고물가로 군민들의 삶은 갈수록 피폐해지고 있는데, 군은 지난해 7월부터 군민들에게 경제적 부담이 될 뿐 아니라 명분이 전혀 없는 역세권 공영주차장의 유료화를 ‘정조준’” 했다.

 

“역세권 공영주차장 유료화는 도농(都農)의 차이도 모르고 추진하는 가평군수의 무능으로 판단된다”고 주장한 정 씨는 “유료화를 철회할 때까지 서명운동하겠다”고 강력한 견해를 밝혔다.

 

지난해부터 이 문제를 제기한 정 씨는, 코레일은 경춘선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대성리. 청평.상천. 가평역세권 주차장 233면을 애초부터 무료 개방하고 있지만, 가평군은 막대한 예산을 들여 공영주차장을 유료화했다고 지적했다. 


가평군은 최근 NGN 뉴스에 “장기 주차와 방치 차량 방지를 위해 유료화를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정 씨는 “막대한 혈세를 투입해 ‘수입은 고작 1억인데 비해 인건비는 연간 4억 4천만 원을 쏟아붓는 것”으로,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격“이라고 반박했다.

 CVZ.PNG

”개인이나 기업이라면 이런 적자 운영이 가능하기나 하겠습니까?”라고 군 주장을 반박한 정 씨는 "역세권 주차장은 서울 등으로 출퇴근하거나 일시적 용무를 보기 위해 경춘선을 이용하는 군민들이 이용하는데, 유료화는 가뜩이나 어려운 농촌 사람들의 얇은 지갑을 이렇게 털어가야 하겠냐?"라고 지적했다.

 CFR.PNG

그러면서 "유료주차장 설치는 원활한 차량 소통을 위한 것도, 군의 재정수입을 올리기 위함도 아님이 확인됐다"라면서 "역세권 주차장을 무료로 개방하여 수도권 사람들이 교통이 편리한 가평으로 이사를 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유료화 철회를 촉구하는 서명 첫날, 가평역에선 출근 시간임에도 많은 군민들이 발길을 멈추고 서명에 참여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전철을 타고 서울로 출퇴근한다는 군민 A씨는 ”NGN뉴스의 보도를 통해 역세권 공영주차장 문제점을 잘 알고 있다”라면서, ”연간 3억 원 넘게 혈세를 낭비하면서까지 유료화 한 가평군의 발상을 이해할 수 없다.“고 직격했다.

 

군민 B 씨는” 어쩌다 역세권 유료주차장을 이용하는 사람의 입장을 알 수 없으나, 주 5회 정기적으로 유료주차장을 이용하는 다수의 군민은 경제적 부담이 크기 때문에 서명 운동에 참여했다’라면서 “역세권 공영주차장은 코레일처럼 무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희창 씨는 “뜻있는 군민들과 유료화 철회가 될 때까지 서명 운동을 할 것”이라는 입장이어서 가평군의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가평·청평.대성리역세권 공영주차장 유료화 철회 서명 ‘점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