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명숙 "피해지역 주민들은 목숨을 담보로 잡혔는데"... 주민들 '눈물'
강태일 사격장대책위원장 "사격시간 합의문 유효기간은 1년... 잘못되면 다시 바꿀 수도 있어"
[NGN뉴스=포천]양상현 기자=경기 포천시 소재 미군사격장에서 최근 소음측정을 목적으로 한 AH-64 '아파치' 헬기 사격훈련이 로드리게스 사격장(영평사격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25일 오전 11시 주변지역 갈등현안 해결과 상생을 위해 포천시와 주민·미군 등 이해당사자들이 민관군 상생센터 협약식이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이날 포천시는 미 8군 관계자가 도착하자마자 양해각서 체결부터 진행하려고 했지만, 피해지역주민들이 "협약식은 절대 안 된다"라며 갑자기 협약식 현장에 들이닥쳐, 반대 입장을 표명해 협약식을 무산시켰다. "사람이 죽어가는데 무슨 협약식"이냐는 것.
주민들은 "주민들의 동의도 없이, 주민의견 수렴도 없이, 주민들에게 잘 알리지도 않고 하는 협약식은 절대 안 된다"라며 "사격소음 방지대책도 없이 이게 무슨 협약식"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포천시와 대책위는 미군과 국방부에 주민들과 충분한 공감대를 갖고 추진할 것을 당부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날 오전 11시로 예정됐던 포천시 사격장 등 군 관련시설 범시민대책위원회 현판식과 함께 미군과의 '민관군 상생의 장 만들기' 협약식도 연기됐다.
앞서 포천시 사격장 등 군 관련시설 범시민대책위원회는 지난 22일 사격소음 측정 현장에서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25일 오전 11시, 포천시 사격장 등 군 관련시설 범시민대책위원회와 포천시, 국방부, 5군단, 미 8군 등 5개 단체가 합의문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이학기 창수면 위원장은 "5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하절기에는 자정까지 사격훈련을 실시하는 것에 동의했고, 8월 16일부터 이듬해 5월 14일까지 9개월 동안은 밤 10시까지만 사격훈련을 실시하기로 합의했다"라고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했다.
강태일 대책위원장은 이날 이뤄질 예정인 합의내용에는 "5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하절기에는 자정까지, 그 밖에는 밤 10시까지 사격"이라고, 이는 대책위에서도 인정한 부분이라고 시인했다.
강 위원장은 "사격 예정시간이라도 주민들이 알게 된다면 '사격이 언제쯤 끝나겠구나'라고 그런 생각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군들이 사격시간을 지켜서 사격을 할 경우 그것은 우리에게 빌미를 줄 수 있는 것"이며 "이를 핑계로 우리는 미군과 얼마든지 더 싸움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소음측정을 목적으로 한 AH-64 '아파치' 헬기 사격훈련이 로드리게스 사격장(영평사격장)에서 실시되고 있지만, 향후 또 '아파치' 헬기 사격훈련이 실시된다면, 대책위원장 자리를 내놓겠다"라며 "이제는 예전과 시대가 달라져 국방부나 미군도 우리와 약속한 부분에 대해서는 지키지 않을 수가 없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키지 않으면 우리가 달려와서 사격장을 폐쇄해 버릴 것이기 때문"이라고도 덧붙였다.
강 위원장은 "미군과 국방부가 우리와의 약속을 섣불리 져버릴 수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지역주민 A씨는 "우리 농사꾼들은 늦게까지 일을 하는데, 지금도 저녁 8시까지는 일을 한다. 저녁 늦게 씻고 바로 자야 하는데 12시까지 사격을 하면 우리는 언제 잠을 잘 수 있냐"라고 따져 물었다.
A씨는 "오히려 겨울에는 저녁 늦게까지 사격을 해도 문을 닫아 놓기 때문에 사격 소리가 덜 들린다. 하지만 여름에는 더우니깐 문 다 열어놓고 자는데 어떻게 하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 위원장은 "합의시간을 정해 놓으면 좋은 것이 자정 12시 넘어서도 사격을 하게 되면 우리가 싸울 수 있는 명분이 서게 된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이제까지 70년이 넘도록 미군과의 소통 채널조차 없었지만, 이제서야 소통의 채널을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백영현 포천시장은 "사격시간대에 대해서는 큰 틀에서 미군들과 소통을 통해 어느 정도 정리가 된 것 같다"라고 설명했지만, 최명숙 영북면 야미리 이장은 "포천시는 이런 사실을 지역주민들에게 통보한 적이 있냐"라며 "통보도 없었는데 협약식 한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냐. 이장들도 모르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영북면 주민 B씨는 "영북면 야미리 등 피해지역 주민들은 아는 게 하나도 없다"면서 "협약식을 연기해 줄 것"을 요청했다.
피해지역 주민 C씨는 "백영현 시장님이 피해지역 주민들을 위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면서 "시장님의 말씀을 믿어야 한다"라고 주장하며, 양해각서 체결식 장을 나왔다.
주민 D씨는 "앞으로 있을 사격훈련에 대해서도 주민들과 적극적인 소통에 나서야 한다"라며 "무엇보다도 국방부는 근본적으로 우선 소음피해 방지법부터 만들어야 한다"라고 말했다.